문화살롱 5120 전시공모 〈공유시선〉 선정작가전

《Needle in a box》

25.03.28-25.05.10

참여작가 | 김민철×노경민
관람시간 | 화-토, 오전 10시-오후 7시(일요일, 월요일 / 공휴일 휴관)
오프닝 | 2025년 3월 28일 (금) 오후 5시 30분
포스터 디자인 | 김민철
문의 | 02-948-1217 / culturesalon5120@gmail.com
※ 휠체어 접근이 가능합니다(미리 연락 부탁드립니다).

풍경의 단위를 니들이라고 하자

  풍경은 작은 것들로부터 출발하며, 단어는 의미의 가장 작은 단위이다. 단어들이 모여 만들어진 문장은 여러 대상이 모여 이루는 풍경의 구조와 유사하다. 전시 제목 《Needle in a box》은 나침반(a box and needle)과 모래밭에서 바늘 찾기(needle in a haystack)를 재조합한 것으로, 각자의 풍경을 만들어가는 김민철과 노경민의 작업 과정이자 그 결과물이다.
  나침반의 바늘은 방향을 가리킨다. 이번 전시의 바늘은 과거, 정확히는 과거의 풍경을 향하고 있다. 과거의 풍경들을 지금-여기에서 유효하게끔 재구성하는 두 작가의 작업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발터 벤야민의 ‘잔해’와 ‘파편조각’ 개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잔해는 파괴되고, 박살나고, 부서짐으로써 애초의 무엇인가로부터 찢기고, 떨어져 나온 것이며 잔해들을 모아 다시 결합하려는 시도는 실패할 수밖에 없다. 반면 파편조각은 잔해와 달리 모아 다시 결합되어 애초의 모습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파편조각으로서의 과거의 이미지들을 모으고, 서로 관계 맺는 일은 과거의 실재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이다.1)
  앞서 언급한 풍경의 형질은 시간을 기반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공간과 분리할 수는 없다. 풍경은 특정한 장소와 결부되었을 때만 완성된다. 본인이 경험한 고향의 풍경을 재인식하여 나열하는 김민철의 회화는 파노라마(panorama)의 형식으로 구현되며, 노스텔지어(nostalgia)를 만들어 낸다. 노스텔지어는 있는 그대로 재현되지 않는다. 기억은 미화되기도 하고, 잊히기도 하는 일종의 편집 과정을 거친다. 프리즘을 통과한 빛이 굴절되고 산란하며 스펙트럼을 만들어 내듯, 고향에서 발견한 김민철의 사적인 수집물들은 작가를 투과한 다음 개별 단위로 펼쳐지고 연결된다. 김민철의 회화가 어떤 배경이 아닌 풍경이 되는 까닭은 각각의 대상이 기억의 잔해가 아니라 파편조각이기 때문이다.
  노경민은 최근 외조모의 회고록을 바탕으로 다른 삶의 궤적을 추적하는 작업을 이어 나가고 있다. 노경민은 이번 전시를 준비하며 전라남도 영광에 위치한 외조모의 집 앞 감나무를 본뜨고, 그곳의 흙을 가져다가 조형물을 만들었다. 친밀했던 이의 기억을 따라가는 과정은 여러 겹으로 이어져 나가며, 실재적인 형태로 구현된 파편조각이다. 나무의 외피가 둘러싼 사적인 이야기는 영상에서 흘러나오는 내밀한 고백과 만나 증폭한다. 이러한 접촉은 이해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된다. 스스로가 경험하지 않은 과거의 기억을 현재의 풍경과 연결 짓는 노경민의 작업에서 발생하는 이해의 방향이 바깥을 향한다면, 본인이 걸으며 체화한 풍경에 대한 김민철의 이해는 내부로 향한다.
  또한 모래밭에서 바늘 찾기에서의 바늘은 풍경의 최소 단위이다. 그렇다면 풍경의 단위를 니들이라고 하자. 이번 전시의 풍경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개별 단위는 ‘나무’이다. 나무가 뿌리를 내리며 만들어 낸 ‘정주’라는 장소성은 일종의 연결이다. 전시장의 나무들은 뿌리의 유무와 상관없이 옮겨져, 부유하는 풍경이 되며 또 다른 연결을 발생시킨다. “감정을 가진 형태들을 풍경”2)이라 부른다면 여러 방향으로 휘어지고 꺾여나간 나무의 형태들은 어떤 마음일까. 개별 작품들이 이루어낸 마음의 군락을 어지러이 헤매어 보기를 바란다. 전시라는 나침반이 계속해서 움직이며 마음의 본질을 탐색하고 있을테니.

1) 김남시, 「아카이브 미술에서 과거의 이미지: 발터 벤야민의 ‘잔해(Trümmer)’와 ‘파편조각(Scherbe)’ 개념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Vol.49, 2016을 참조하였다.
2) 김유진, 「여름」, 『여름』, 문학과지성사, 2012, 77쪽.

김반석(문화살롱 5120 프로그램 매니저)